국보 제287호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

Extra Form
출처 수집자료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yh45&logNo=20127049603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

(百濟 金銅 龍鳳蓬萊山 香爐)

14202128.jpg

1. ‘백제 금동 용봉봉래산 향로 (百濟 金銅 龍鳳蓬萊山 香爐)’

국립부여박물관에 소장된 국보287 ‘백제 금동 용봉봉래산 향로’는 7세기 초 백제의 금동향로로서 크기는 전체 높이 64cm, 지름 20cm이다. 1993년 부여 능산리(陵山里) 고분군에서 출토되었다.

1300 백제의 금속공예 기술, 몸체와 봉황의 속을 공간으로 비워낸 밀납법과 아말감 도금법을 이용하여 찬란한 외관을 보여주는 백제 금동향로의 금도금술은 현대의 기술로도 재현하기 어려울 정도로 완벽하다. 백제의 금동향로는 공예기술의 우수성만이 아니고 백제인의 정신세계와 생활상을 밝혀줄 있는 자료로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백제 금동향로에서 표현하고자 주제는 불교의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와 도교의 신선세계(神仙世界)라고 할 수 있다. 그 가운데서도 보다 기본적인 주제는 연화장세계다. 다시 말하면 향로 전체적인 구성의 골격은 연화장세계를 조형적 배경으로 한 것이고, 그 세계의 구체적인 내용에 신선세계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백제 금동 대향로(금동용봉봉래산 향로) 발굴은 백제 공예사, 나아가서는 삼국 시대 공예사, 혹은 우리 나라 공예사와 문화사까지도 다시 써야하게 만드는 일이었다.

 

1993년에 능산리 고분군과 부여 나성 사이의 백제 집터를 발굴하던 국립부여박물관 사람들은 향로를 집터 바닥진흙구덩이에서 찾아냈다. 공기가 통하지 않는 진흙 속에 파묻혀 있었기에 거의 녹슬지 않고 모양을 간직하고 있었던 것은 천행이었다. 발굴 결과에 따라 집터는 궁중의 소용물을 제작하는 공방이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키가 64cm 되는 거대한 향로는 머리를 들어올린 용을 받침으로 삼아 피어나는 연꽃 위에 봉래산이 솟아나고 꼭대기에는 봉황이 마리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향로의 뚜껑 부분을 이룬 봉래산은 예로부터 동해의 신산(神山)을 상징하는 의미로 그 부분이 신선의 세계임을 표현한 것이다.

 

74개나 되는 산봉우리 사이사이에는 온갖 진기한 기화요초와, 호랑이, 코끼리, 원숭이 실재하는 짐승과 상상의 짐승들 39마리가 조각되었고, 사람도 16명이나 있다. 봉황의 아래쪽에는 악사 다섯 사람이 돌아가며 앉아 천상계의 음악을 연주하는데, 입체적인 부조인 악사들 바로 뒤에 작은 구멍을 뚫어 향이 피어나오도록 했다. 골골마다 숨은 듯이 있어 낚시를 하는가 하면 머리를 감거나 사냥을 하는 신선들은 모습이 매우 자연스럽다.

 

몸체는 피어나는 연꽃 모양으로 사이사이에 사람과 물고기 수중생물 26마리가 새겨져 있다. 이런 몸체를 고개를 바짝 쳐든 마리가 발을 틀어서 굳건히 받치고 있는데, 발은 번쩍 쳐들어 틀에 갇히지 않은 자유로운 상상력을 보여 준다.

 

이렇듯이 여러 상징들로 만물의 생명이 연꽃에서 탄생한다는 불교의 연화화생관을 이루고, 한편으로는 음의 정점인 수중세계의 , 위의 지상세계, 다시 천상세계로 나누어 양의 정점인 봉황에 이르기까지 동양 전통의 음양설을 적용하여 하나의 우주를 이루어 내고 있다.

 

봉래산(중국식으로는 박산) 향로는 중국에서는 이미 한나라 때부터 만들어져 왔으나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이토록 정교하고 섬세하며 상징적인 향로가 만들어진 예는 없다. 7세기 초의 것으로 여겨지는 향로는 백제 사람들의 사상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사상을 이처럼 섬세하고도 자신 있게 조형적으로 형상화해 있었던 백제 문화와 자신감을 우리에게 새삼 일깨워 준다. 향로는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일반에 공개하고 있다

 

당시 백제는 도교사상(道敎思想)을 받아들여 융합시킨 중국 남조(南朝)의 불교를 주로 받아들였다. 백제 후기의 귀족층에서는 그러한 불교와 도교가 융합된 문화분위기에 젖은 생활을 영위하고 있었는데, 654년에 작성된 사택지적비문(砂宅智積碑文)은 그러한 분위기에 젖은 당시 귀족들의 세계관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사택지적비문이 그러한 세계관을 글로 나타낸 것이라면 금동향로는 조형으로 표현했다는 차이뿐이었고, 주제는 전면 일치한다. 금동향로의 1 부조상은 영원불멸의 하늘세계의 상징으로서 봉황과 북방 설원(雪原)에서 썰매 끄는 사슴, 상상의 동물인 공작, 하늘을 나는 천마(天馬)의 신성함, 사람과 가장 가까운 영물로서 원숭이 등을 표현하였다. 그래서 고대 백제인의 이상과 꿈, 영원의 세계를 표현한 소우주라 할 수 있다.

 

백제 금동향로는 봉황 뚜껑장식, 봉래산이 양각된 뚜껑, 연꽃잎으로 장식된 몸통, 받침의 4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뚜껑의 꼭지 위에 있는 봉황은 꽁지를 쳐들고 날개를 활짝 펴고 있으며, 밑으로는 5인의 악사(樂士)가 둘러 있고, 다시 아래로는 74개의 산이 중첩되어 있다.

몸통에는 우아하고 정교한 연꽃 무늬가 새겨 있으며, 마리의 용이 입을 그릇 바닥 중심에 붙이고 몸을 틀어 내려서 받침을 이루고 있다. 이는 중국 ()나라 때부터 만들어진 박산향로(博山香爐)의 형식을 계승한 것이다.

 

박산향로는 대개 바다를 상징한다는 승반(承盤) 위에 한 개의 다리를 가지고, 그 위에 중첩된 산봉우리가 있는 동체를 가진 향로로서 신선사상이 조형적 배경이 되었다 한다. 따라서 이 향로에도 신선사상이 짙게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등장하는 인물들은 신선으로, 그리고 동물들도 현실세계의 동물이라기보다는 신비의 이상향에 살고 있다는 상상의 동물들로 볼 수 있다.

또한 연꽃봉오리 모양인 몸통에서 연화화생(蓮華化生)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연화화생은 극락세계의 연꽃에서 만물이 신비롭게 탄생된다는 불교의 생성관으로, 이 향로에서의 연꽃도 뚜껑의 산을 탄생시키고 있다. 이는 74개의 산의 능선 테두리마다 가해진 빗금 모양의 화염무늬에서 알 수 있다. 화염무늬는 불교의 연화화생의 기()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화화생관은 용과 연꽃의 관계에서도 이루어진다. , 향로에서 용은 바다의 상서로운 짐승으로서 ()의 세계를 나타내는 것 이외에 불교적인 관념을 담고 있다. 용이 토해내는 기를 불교의 연화화생의 기로서 해석하여 표현했다고 볼 수 있다. 즉, 용의 입에서 토해진 기는 연꽃으로 토해져 이 향로의 몸통으로 화생되는 것이다.

이 향로의 또 다른 조형적인 배경은 음양설이다. 음에 해당하는 아래로부터 수중동물의 정화(精華)로 용을 등장시키고, 그 위로 연꽃 위에 생성된 지상의 선계(仙界)를 나타냈다. 그곳에는 다양한 동물과 악사를 비롯한 신선이 배치되고, 정상에는 봉황을 배치하였는데 봉황은 곧 양()의 정수(精髓)가 된다.

그리고 수중생물뿐만 아니라 지상의 신선과 동물 등이 혼재되어 있는 몸통은 향로에서 높이가 중간 부위이듯 음과 양이 어우러지는 중간 선계 지대임을 있다. 여기에 5명의 악사 선인과 5개의 향연 구멍을 겹으로 등은 음양설과 결합되어 나타난 오행설의 반영으로 있다.

한편 이 향로의 꼭대기에서 날개를 활짝 펴고 있는 봉황은 예로부터 음악과 춤을 동반한다고 하며,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바로 밑에서 5마리의 원앙이 봉황을 바라보고 있으며 선계의 악사들도 봉황을 맞아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산중의 신선들은 음악과 함께 명상에 잠기기도 하고, 낚시하며 머리를 감기도 하고, 말을 타고 수렵을 즐기기도 한다.

밖에도 향로에는 6군데의 나무와 12군데의 바위, 산중턱을 가르며 , 사이로 흐르는 시냇물, 입체적으로 돌출되어 낙하하는 폭포, 낚시터가 잔잔한 호수 등을 있다. 향로의 대좌를 용으로 삼은 예는 중국의 한대(漢代)부터 나타나지만, 당시는 용의 표현이 미약하고 연화화생의 표현도 없던 시기였다.

향로의 몸통을 연꽃모양으로 구성한 형태는 중국의 남북조(南北朝) 시대인 400년경부터 등장하고 있으나 이 향로같이 고도로 고안된 연화화생의 표현이나 봉래산에서 전개되는 다양한 인물, 동물 등의 묘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이 향로는 중국향로의 형식을 따랐으나 조형성이나 회화적인 구도는 중국을 뛰어넘는 예술적 감각과 독창성을 발휘한 대표적인 백제 미술품이다.

2. 백제금동용봉대향로

1993년 부여 능사(陵寺) 터에서 발견된 백제금동용봉대향로는 1971년 무령왕릉 발굴 이후 백제 미술사와 고고학의 최대 성과였다. 이 향로는 규모가 크고, 기법이 너무도 완벽하여 발굴 당시엔 중국 수입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사실 그때만 하더라도 백제 금속공예품으로 이와 겨룰 만한 명품이 없었다. 그러나 2007년 왕흥사터, 2009년 미륵사 서탑에서 환상적인 순금 사리함들이 발굴되면서 이제 그런 의심을 갖는 미술사가는 없다.

 

향로의 크기는 높이 64, 무게 11.8㎏이나 되는 대작으로 탐스러운 꽃봉오리를 용이 입에 물어 올리는데 그 꼭대기에서 봉황이 날갯짓하는 모습이다. 뚜껑에는 신선 세계를 나타내는 무수한 그림이 새겨졌다. 불사조·물고기·사슴·학 등 동물이 26마리, 다섯 겹으로 첩첩산중을 이루는 25개의 산봉우리, 기마수렵상 등 인물상이 16, 피리·비파·북 등을 연주하는 악사가 5, 상상의 날짐승·호랑이·사슴 등이 39마리로 여기에 나오는 도상은 약 100가지나 된다. 낱낱 형상의 묘사 또한 정교하고 아름답다.

 

이 향로는 중국의 박산(博山)향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박산이란 봉래산·영주산·방장산 등 삼신산을 말한다. 그러나 백제금동용봉대향로는 이런 도교적 상징성을 불교적 이미지와 절묘하게 결합시켰다. 이런 예는 5세기 남북조시대의 유물에 얼핏 비슷한 것이 보이지만 이처럼 용봉을 곁들인 명확한 구성은 아직 알려진 것이 없다.

 

공예는 용()과 미()로 이루어진다. 향로 뚜껑 산봉우리 뒤에는 8개의 구멍이 숨겨진 듯 뚫려 있고, 봉황 가슴에도 2개의 구멍이 있어 연기가 거기로 피어오르게 되어 있다. 결국 백제금동용봉대향로의 최종 형태는 삼신산에서 연기가 아련히 피어오르는데 다섯 악사가 음악을 연주하고 봉황은 가슴에서 신비로운 향줄기를 뿜어내는 형상이다. 이 향로는 6세기 후반, 위덕왕 때의 유물로 추정되고 있다.

[유홍준 명지대 교수·미술사]

3. 논에서 발굴 백제금동대향로

국립부여박물관을 찾아가면 전시품을 대표하는 유물이 백제금동대향로임을 알 수 있다. 이 향로는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절로 탄성을 자아내게 한다.



향로는 중국에서 최초로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옛날부터 여러 나라에서 냄새를 제거한다거나, 종교의식을 행한다거나, 아니면 구도자의 수양정진을 위해 향을 피웠던 그릇이다. 중국에서는 훈로(薰爐) 또는 유로(鍮爐)라고도 하는데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는 것이 바로 박산향로(博山香爐)다.



박산은 중국의 동쪽에 불로장생의 신선과 상서로운 동물 들이 살고 있다는 상상의 이상향이다. 박산향로는 바다 가운데 솟아 신선이 살고 있다는 이 박산, 즉 봉래(蓬萊)ㆍ방장(方丈)ㆍ영주(瀛州)의 삼신산(三神山)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향로를 말한다.



박산향로는 중국 전국시대 말에서 한나라 초인 기원전 3세기 대부터 만들어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박산향로 중에서도 가운데 높이가 62cm에 이르는 대형향로는 발견된 예가 없기 때문에 이 백제향로야 말로 가히 세계 최대임이 분명하다.



뿐만 아니라 향로의 몸체와 뚜껑이 모두 조각품이어서 7세기 백제인들의 정신세계와 예술적 역량의 집약적으로 보여준다.



이 향로가 발견된 것은 1993년의 일이다. 부여 능산리에는 일제강점기 때 모두 도굴 당한 백제의 왕과 왕족들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고분군이 있어 국가에서 사적13호로 지정하고 잘 정비해 보존해왔다.



그런데 날로 관람객이 증가하자 부여군에서는 주차장을 확장하여 관람객의 편의를 제공하고자 했다. 주차장을 이 고분군과 부여나성 사이 계곡부에 있는 계단식 논을 닦아 조성하기로 하고 작업에 앞서 매장 문화재 조사를 하게 되었다.



부지는 계단식 논인 만큼 항상 물을 머금고 있어 질척거렸다. 그래서 이런 위치에 유구나 유물이 남아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겨울추위와 싸우면서 발굴구덩이에 흘러 드는 물을 임시방편으로 마련한 고랑을 통해 빼내면서 작업하던 중 1993년 12월 12일 오후 4시30분 질퍽거리는 땅 속에서 드디어 향로의 뚜껑이 모습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것이 향로라는 사실은 모르고 빨리 작업을 마쳐야 하겠다는 일념으로 모든 조사원이 달려들어 8시30분경에 유물을 완전히 들어내는데 성공했다.



10여일 간의 처리 끝에 1,300여 년의 깊은 잠에서 깨어난 향로가 원래의 모습을 드러내자 모두들 그 자태에 놀라 입을 다물지 못했다. 12월 22일 부여박물관에서 공식적으로 언론에 공개했다.



그런데 그 때 명칭은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였다. 그러자 '백제금동용봉수미산향로'로 불러야 한다는 주장 등 백가쟁명이 벌어졌다. 결국 1996년 5월30일 문화재위원회는 국보 제287호로 지정하면서 명칭을 '백제금동대향로'로 결정했다.



아무런 조사 없이 중장비가 동원돼 주차장이 조성됐다면 우리는 영원히 이 백제의 국보를 잃었을 것이다.

[조유전의 문화재 다시 보기] <10>

 

4.금동용봉 봉래산향로



향로(香爐)는 고대 동양의 인도(印度), 중국(中國)등 여러나라에서 냄새의 제거, 종교의식, 그리고 구도자(求道者)의 수양정진을 위하여 향을 피웠던 도구로 중국에서는 훈로(熏爐)라 고도 한다.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말기에서 한 대(B.C. 206~A.D. 219)에 이르는 시기에는 바다를 상징하는 승반(承盤)위에 한 개의 다리와 중첩된 산봉우리형의 몸체 를 갖춘 박산향로가 만들어졌고 이것이 사실상 중국박산향로의 시원(始原)형식이다.



박산향로는 당시의 산악숭배, 무속, 불로장생(不老長生)의 방생술(放生術)과 양생(養生)술, 무위(武威)사상, 음양(陰陽)사상 등을 쫓는 신선사상(神仙思想)이 조형적 배경이 되었으며, 신선사상이 가장 유행했던 북중국 지역에서 가장 많이 출토되고 낙랑(樂浪)의 고분(古墳)에 서도 출토된 바 있다.



박산향로는 우리나라에도 전래된 듯 하나 부여 능산리 절터유적에서 백제금동대향로가 출토되기 이전에는 사실상 알려진 예가 없었다.



백제금동대향로는 승반과 하나의 다리를 대신하여 머리를 들어 올린 용을 조각하여 받침을 삼았고, 그 위에 산을 표현하였으며, 꼭대기에는 봉황 한 마리가 서 있어 외형적으로는 신선사상의 지향처인 삼신(三神)산을 가리킨다는 박 산향로의 형식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 향로는 높이가 64cm나 되는 유례없는 대작(大作)인 데다가 용과 봉황의 비중이 상당히 두드러져 있다. 그리고 박산이라는 명칭이 중국에서 남북조시대 이후 점차 중국의 특정지역에 비정하는 중국적인 체취가 남긴 이름이므로 여기서는 우리 선조들에게 삼신산 중에서 가장 오래도록 친근하게 불리워 온 봉래산(逢來山)이란 이름을 붙여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百濟金銅龍鳳逢來山香爐)로 불리게도 되었다.



이 향로의 외형적인 구성은 '연화화생(蓮華化生)'이란 불교관과 깊은 관련을 보이고 있다. 연화화생이라 연꽃이 만물을 화생(化生) 즉 성서로운 조화로서 탄생시킨다는 불교적 생성관으로 육도 (六塗) 및 정토(淨土)에서는 모든 존재가 화생(化生)이란 초자연적인 방법으로 태어난다고 한다.



그런데 순환하는 육도에서의 화생과는 달리 극락정토(極樂淨土)에서의 화생은 오로지 연꽃을 통하여 만물이 탄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만물이 연꽃에 의하여 탄생될 때에는 화생의 기를 의미하는 빛을 뜻하는 불꽃이 먼저 발산된다고 한다. 이렇게 연꽃이 위대한 힘을 가지게 됨은 예로부터 인도나 이집트 등에서 광명과 생명 탄생의 상징으로서 신성시되었던 것에서 유래하였고 이러한 관습이 불교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향로에서 연봉오리, 또는 보주형으로 나타낸 몸체는 결국 연꽃 모양인데 이 연꽃은 연화 화생의 기운을 뜻하는 불꽃과 함께 한대 전통의 박산, 즉 여기서는 봉래산이란 신비로운 산악으로 솟아오르고 있다.



여기서의 불꽃들은 뚜껑과 향로의 몸체사이에 있는 2조()의 유운 문계당초문(流雲文係唐草文)에 뿌리를 둔 훼룡문계화염( 龍文系火焰 : 이 화염은 사실은 박 산무늬의 테두리를 장식한 것임)과, 산악의 능선마다 테를 두르며 그 안에 빗금 무늬로서 표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전체의 산악들은 지금도 화생(化生)이 계속되어 마치 작은 나무와도 같은 33곳의 작은 봉우리들이 움트리고 있으며, 이 화생된 작은 봉우리의 능선 테두리에도 역시 불꽃을 의마하는 빗금무늬가 빠짐없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연화화생에 의하여 봉래산을 탄생시키는 표현은 공주 무령왕릉(武寧王陵)에서 나온 동탁 은잔(銅托銀盞)이나 부여 외리(外里)출토 산수문전(山水文塼), 산수봉황문전(山水鳳凰文塼) 그리고 청풍출토품으로 전하는 활석제불보살병립상(滑石製佛菩薩竝立像)에서도 공통적 인 예를 볼 수 있어 당시 백제에서는 불교의 연화화생에 의한 조형원리가 널리 적용된 듯하다.



그러나 이 향로에서 표현하고자 한 내용과 주제는 한대의 향로에서 볼 수 있던 봉래산을 중 심으로 한 신선의 세계이다. 향로의 꼭대기에서 날개를 활짝 펴고 서 있는 봉황은 봉래산에 살고 있는 상서러운 전설의 새이며 천하가 태평할 때 세상에 나타난다고 한다.



이 봉황의 속성 가운데 하나가 절로 노래하고 절로 춤을 춘다고 하여 예로부터 춤과 음악에 흔히 동반 된다. 이러한 봉황의 묘음(妙音)에 귀 기울인 듯 5마리의 기러기로 보이는 원앙(옛기록을 보 면 봉래산의 원앙은 기러기를 닮았다고 한다.)의 시선과 동작이 봉황을 향하고 있으며, 선계 (仙界)의 악사(樂士)들도 봉황을 맞아들이기라도 하듯 각기 다른 악기로 음악을 연주하고 있다. 산중의 신선들은 명상(冥想)에 잠기기도하고, 낚시도 하며, 머리도 감고, 말을 타고 달 리거나, 수렵을 즐기기도 한다.



이 향로 뚜껑에는 74곳(41곳의 능선을 가진 산과 화생중인 33곳의 산)의 봉우리와 봉황, 용을 비롯한 상상의 날짐승과 길짐승, 현실세계에 실재하는 호랑이, 사슴, 코끼리, 원숭이, 멧 돼지 등 39마리의 동물과 5인의 악사, 산중의 신선 등 16인의 인물상이 표현되고 있다. 이밖에도 6군데의 나무와 12군데의 바위, 산중턱을 가르며 난 산길, 산 사이로 흐르는 시냇 물, 낚시터가 된 잔잔한 물결까지 나타낸 호수가 있다.



또 향로의 노신(爐身)을 싸고 있는 연꽃잎들에는 두 신선과 날개 달린 물고기를 비롯한 수중생물, 물가의 생활과 밀접한 것으로 여겨지는 사슴과 학 등 26마리의 동물이 보여 결국 이 향로 전체에는 신선으로 보이는 인물 18인, 동물 65마리가 표현되고 있는 셈이다.



이 향로에 보이는 또 하나의 전체적인 구성원리는 음양의 체계를 이루어 아래로부터 수중 동물의 즉 음()의 대표격인 용을 등장시키고, 그 위 몸체에는 연꽃과 수중의 생물이거나 또는 물가와 관련된 동물, 뚜껑인 지상(地上)계에는 산악과 짐승 및 신선 그리고 천상계인 정상(頂上)에는 봉황과 원앙을 배치하였는데 봉황은 양()을 대표적으로 상징하는 동물이다.



향로에 용을 대좌로 삼는 예는 중국의 한대부터 나타나며, 향로에 연화화생을 표현한 예는 중국의 남북조시대 400년경부터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한대의 향로는 용의 표현이 미약하고 연화화생과 관련된 표현도 없으며, 남북조시대에서도 이같이 고도로 고안된 연화화생의 표현이나 봉래산에 전개되는 다양한 인물, 동물 등의 묘사는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향로의 다리를 용이 실제로 역동적인 용트림하는 모습의 작품은 어느 시대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찾아 보기 힘들다. 이 향로에는 음양의 체계 또는 인도의 전통적인 사고와 관련된 또다른 연화화생 관계를 생 각할 수 있다.



즉 힌두(Hindu) 설화에서는 물이 곧 생장의 근원이라고 한다. 이러한 생장의 근원인 물은 수중세계를 대표로 하는 동물인 용을 통하여 자연계에서와 같이 물속에서 물위 로 연꽃을 피워 올린다. 그런데 이 연꽃은 신비의 광명과 탄생을 담은 연꽃이다.



결국 용은 연꽃으로 화생한 것이다. 이때 용의 입에서 토해낸 화염이 연꼿으로 화생되고, 이 연꽃은 다 시 중국 한대 이후의 박산 향로에서 보이는 산모양으로 호생되었다고 볼 수 있다. 어쨌든 이 향로의 연화화생은 대좌인 용, 몸체인 산, 정상의 봉황에 이르기까지 전체에 걸쳐 가득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용에 장식된 인동문(忍冬文)이나 불꽃무늬, 여섯잎의 연꽃, 향 로 몸체에 가득 표현된 불꽃무늬와 두겹의 당초문, 봉황의 대좌인 보주(寶珠)와 봉황의 날개 와 몸통에 가해진 불꽃무늬 등이 그것이다.



이상에서 볼 때 백제금동대향로는 중국 향로의 형식을 바탕으로 하였으되 조형성이나 회화적 인 구도는 오히려 중국을 뛰어 넘는 탁월한 예술적 감각과 독창성을 발휘하고 있다.



이 향로는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후 정치적 안정을 되찾은 7세기초에 백제인들의 정신세계 와 예술적 역량이 함축되어 이루어진 백제공예품의 진수라 할 것이다. 그리고 불교와 신선 사상이라는 동양인의 사고체계를 형성한 장엄한 두바퀴가 불꽃처럼 어우러져 성취된 백체인 들의 세련된 공예문화요, 화생예술인 것이다.

5.백제금동대향로

국보 제 287호 백제금동대향로는 불전에 향을 피울 때 쓰는 향로로써 부여 능산리 백제시대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이 향로는 크게 보면 앞발을 치켜든 용 한 마리가 막 피어날 듯한 연꽃 봉오리를 물고 있는 듯한 형상인데 연꽃 봉오리의 중앙이 아래위로 분리되어 향로의 몸체와 뚜껑을 이룬다

 

용 한 마리가 연꽃 봉오리를 물고 있는 모습을 형상화한 백제금동대향로. 충남 부여 능산리 절터에서 출토되었다.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용 한마리가 연꽃 봉오리를 물다



향로의 뚜껑은 중첩된 형태의 산악으로 묘사되어있고, 그 위에는 날개를 활짝 편 채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한 마리의 봉황이 보주 위에 서 있다. 봉황 바로 아래 즉 뚜껑의 제일 위쪽에는 5명의 악사가 각각 금, 완함, 동고, 종적, 소 등의 5가지 악기를 연주하고 있는데, 소발로 깎은 머리는 오른쪽으로 묶여져 있으며 통견의 도포자락과 악기마다의 독특한 자세를 취한 채, 연주하는 모습이 실감나게 표현되어있다(아래 사진 참조).

이 사이에 표현된 5 봉우리에는 그 상단마다 1마리씩 5마리의 새가 얼굴을 들어 정상부에 있는 봉황을 올려 보고 있다. 그 아래 향로의 뚜껑에 장식된 박산은 중국의 동쪽바다 가운데에 불로장생의 신선들이 살고 있다고 하는 삼신산(봉래 방장 영주산)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여기에는 신선을 상징하는 듯한 각종 인물, 동물 산수 등이 다양하게 묘사되어있는데 동물들은 실존 동물 이외에도 상상의 동물도 많이 등장한다.

뚜껑의 문양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전면에 걸쳐 삼산형의 산봉우리 24개가 배치되어있는데 산봉우리 가장자리에는 집선문 문양대를 배치하여 산림이 가득한 산을 연출하였다. 이 산봉우리와 계곡 사이에는 각종의 진금기수가 드라마틱하게 고부조로 묘사되어있는데, 6군데의 나무와 12군데의 바위, 폭포 그리고 산 사이를 흐르는 시냇물을 비롯하여 잔잔한 물결이 있는 물가의 풍경도 보인다.

뚫려있던 배연구는 모두 원형 배연구인데 사용해본 결과 향연이 원활하기 나오지 않자 부정형 배연구를 추가로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향로의 뚜껑 내면은 외면의 돌출부분에 대응하여 돌출시켰기 때문에 전체 향로의 두께는 0.5-0.6cm 정도로 균일한 편이다.

하부는 반구형으로 생긴 몸체와 용트림하는 형상의 받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부분의 연결도 관을 매개로 하여 접합하였다.

이들 곳곳에는 상상의 동물뿐 아니라 호랑이, 멧돼지, 사슴, 코끼리, 원숭이 등의 실존 동물, 그리고 산중을 거닐거나 나무 밑에서 참선하는 인물, 기마수렵인, 낚시를 하는 듯한 형상의 인물상 등 도합 16명의 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그리고 그 아래쪽 즉 뚜껑의 구연부에는 1단의 유려한 당초문 문양대를 배치하였는데, 몸체의 구연부에도 같은 형태의 당초문 문양대를 배치하여 뚜껑을 닫았을 때 두 문양대가 서로 맞닿도록 배치하였다

 

불로장생의 신선들이 살고 있다는 삼신산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향로의 뚜껑 장식. 5명의 악사, 5마리의 새, 24개의 산봉우리, 6군데의 나무와 12군데의 바위, 폭포, 시냇물이 세밀하게 배치되어 화려함을 뽐낸다. <소장처: 국립부여박물관>

향로의 몸체와 받침

반구형의 대접모양을 한 몸체는 3단의 연판을 배치하였는데 각 연판은 그 끝이 살짝 반전되었으며 잎의 끝부분에는 밀집선문을 음각하였다. 연판은 동체의 굴곡과 비례를 이루도록 윗 단의 폭이 가장 넓고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줄어드는 방식을 취하였는데 제일 하단의 연판에는 2줄의 음각선으로 복엽을 묘사하였다.

각각의 연판 안으로 물고기, 신조(神鳥), 신수(神獸)등을 한 마리씩 도드라지게 부조하였으며 제일 상단의 연판과 연판 사이의 몸체 여백면에도 연판의 부조보다는 조금 작은 크기의 동물상을 배치하였다. 또한 요고를 연주하오고 있는 모습의 주악상, 동물을 타고 있는 듯한 1구의 인물상이 장식되었다. 따라서 이 몸체에는 두 마리의 새를 중첩 표현한 연판 상단의 여백을 포함하여 도합 24마리의 동물과 2구의 인물상이 묘사되어있다.

제일 아래쪽의 받침에 해당하는 용은 승천하는 듯한 격동적인 자세로 굴곡진 몸체의 후미와 그곳에서 뻣어나온 구름모양의 갈기를 투각 장식하여 받침으로 삼았다. 용의 정수리에서 솟아오른 뿔은 두 갈래로 갈라져 목 뒤까지 길게 뻗어있고, 길게 찢어진 입안으로는 날카로운 이빨까지 세밀히 묘사하였다.

용의 입안으로 물려진 짧은 간주(竿柱)위로 몸체의 하부받침을 연결시켰다. 간주는 몸체 안으로 솟아올라 그 바깥쪽으로 몸체와 연결되는 관을 끼워 몸체와 받침을 연결하였다.

그리고 아래쪽 가장자리에는 휘감은 몸체 사이사이에 물결무늬, 연꽃무늬 등을 배치하여, 용이 물결을 박차고 승천하는 듯한 분위기를 연출하였다

X-선에 의해 밝혀진 향로의 과학적 설계

 

향로의 단면 실측도. X-선 사진은 향로가 치밀한 과학적 설계에 의해 주조되었음을 보여주었다

향로는 위에서 서술한 것과 같이 상부장식과 뚜껑으로 된 상부, 몸통 및 받침이 연결된 하부의 2부분으로 구성되어있다. 상부장식은 봉황이 보주 위에 서있는 듯한 형상인데 봉황의 다리 사이에 별도의 원형관이 보주와 봉황을 연결하고 있다.

X선 조사 결과에 의하면 이 원형관은 뚜껑의 상부에서 시작되어 보주를 관통하여 봉황 몸통까지 연결되며 이 끝, 즉 봉황의 가슴부위에는 작은 배연구 2개가 뚫려있다. 향을 피웠을 때 향연이 봉황의 가슴에서 솟아오르는 효과를 연출하면서 뚜껑과 상부장식의 결합도 단단히 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배연구는 모두 12개가 뚫려 있다. 이중 2개는 이미 기술한 봉황의 좌우 가슴팍에 있는 것이고, 나머지 10개는 뚜껑의 산악문양 뒤쪽에 배치되어있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이 배연구는 이중의 정오각형을 이루고 있는데 내외 구멍은 일직선을 이루고 있다.

이로 보아 이 배연구는 모두 제작당시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배연구의 형태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지름 0.6cm의 작은 원형 배연구이고, 또 하나는 한 변 1cm 정도의 부정형 배연구인데 후자는 향로를 주조하고 난 뒤 끌 등을 이용하여 추가로 뚫은 것이고, 전자는 주조당시에 제작된 것이다.

즉, 주조당시 이 향로에 뚫려있던 배연구는 모두 원형 배연구인데 사용해본 결과 향연이 원활하기 나오지 않자 부정형 배연구를 추가로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향로의 뚜껑 내면은 외면의 돌출부분에 대응하여 돌출시켰기 때문에 전체 향로의 두께는 0.5-0.6cm 정도로 균일한 편이다. 하부는 반구형으로 생긴 몸체와 용트림하는 형상의 받침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부분의 연결도 관을 매개로 하여 접합하였다. 즉 용의 입에 물린 간주는 용과 함께 주조된 것으로 이것을 몸체와 연결된 관속에 끼워 몸체와 받침을 연결하였다.

그런데 X선 사진에 의하면 몸체와 연결된 간주 관도 몸체와 함께 주조된 것이 아니고 별주되어 접합한 것이다. 즉 중앙에 상하로 된 관이 있고 하부에는 원반으로 연결된 중간 부속품을 사용하여 발과 받침의 접합을 강화하고 있다(도면참조).

받침은 용이 한 다리를 치켜들고 꼬리와 나머지 3다리를 이용하여 용트림하는 자세로 돌려져 있다. 그리고 사이사이에 파도문, 연화문, 소형의 구() 등을 배치하여 전체가 하나의 원형굽으로 연결되도록 하였지만, 받침 중 바닥에 닿는 것은 용의 발목 3지점만이 바닥에 닿으며 이들 3지점은 정삼각형을 이룬다. 이것 역시 향로가 치밀한 과학적인 설계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불교와 도교의 복합적 요소, 백제왕실의 사상을 압축하여 표현해

 

불교와 도교의 복합적인 요소로 꾸며져 있는 금동대향로의 무늬를 통해 당시 백제의 사상관을 엿볼 수 있다. 사진은 백제의 또 다른 유물인 산수봉황무늬벽돌의 모습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 출토당시의 모습
출토당시의 모습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부분
뚜껑부분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닭
뚜껑 맨 위의 닭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몸체부분
몸체부분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인물상들
뚜껑의 인물상들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동물상들
뚜껑의 동물상들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악사들
뚜껑의 악사들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악사들
뚜껑의 악사들
금동용봉 봉래산 향로-뚜껑의 악사들
뚜껑의 악사들

글 국립중앙박물관 고고부장 김정완

자료 제공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원본 위치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ohyh45&logNo=20127049603>


테마 탐방

아라마와 함께 찾아가는 탐방길 - 선지식, 흔적들, 그리움, 향취

List of Articles
카테고리 제목 조회 수
기타 부석사(浮石寺)에서 김삿갓 4
미술.건축 국보 제287호 ‘백제금동용봉봉래산향로’ file 4827
인물 영화감독 임권택 file 1318
영화애니 심우도 - 김종헌 file 1788
미술.건축 고려사의 재발견 명품 열전 ⑥ 나전칠기 불교용품 주로 제작 file 2926
기타 KBS - 팔관회 재연 1118
옛자취 백석, 자야. 법정스님, 길상사 file 2842
인물 능혜스님 '문향, 향기 속으로' 출간하고 전시회 1 file 2369
옛자취 266칸의 동양 최고의 사찰터 회암사지박물관(hoeamsaji museum) 1189
선방 [오대산 지장암] 기린선원 - 비구니 선방 254
선방 [추줄산 위봉사] 위봉선원 전라도 비구니 선방 163
옛자취 인도 불교 성지 지도 170
미술.건축 팔대보살 file 1567
인물 [경해법인스님] 원願을 세우는 순간, 인연이 성숙되는 것 file 6784
인물 [안양 안흥사 수현스님] 필요한 게 적으면 무소유無所有, 복지 file 8454
옛자취 만리장성, 천안문광장, 거용관도보 2 file 4157
미술.건축 가람의 구조와 시대별 특징에 대하여 1114
옛자취 법보신문 연재 문수성지 오대산을 가다 1-8 [권오영기자] 1299
인물 진표율사(통일신라) file 1750
인물 강신주 철학 2689
인물 달라이라마 불교, 최고 종교아니다 1366
인물 의성노인복지관 탄하스님 3715
연구학술원 한국정토학회 1426
미술.건축 우리나라 사찰의 주련 모음전 3349
인물 석지명스님의 크신 꿈과 덕적군도 순항(德積群島巡航) 1701
영화애니 5월 16일 붓다 - 싯다르타왕자의 모험 개봉 1955
옛자취 '쇠말뚝' 박기는 일제가 아닌 명나라가 최초 file 1717
인물 종교자유챙책 연구원 상임대표 서강대 박광서 교수 2128
인물 [펌] 반야디파라고 불리는 사나이 1597
영화애니 [찬불동요] 등불보살 1411
불교음악 박범훈-중국의 불교음악 1502
불교음악 박범훈-인도의 불교음악 1470
불교음악 박범훈-범패의 전래와 변천 1313
인물 [법정스님] 버리고 또 버렸던 법정스님의 생애 1899
기타 석가를 불교神으로(중학교 역사부도·지학사) 쓴 교과서 1731
인물 마하시 큰스님(Mahasi Sayada, 1904-1982) 2083
영화애니 어린이를 위한 애니매이션 <붓다> 1543
사찰음식 한국경제tv- 자연 건강 사찰 음식 감로당 1929
인물 【가까이서 뵌 큰스님】송담스님<인천 용화선원 원장> 5607
수행센터 베트남 사원 1718
수행센터 프랑스 프롬빌리지 1790
영화애니 2013년 5월 24일 영화 [길위에서] 이창재 감독 1592
미술.건축 양주 회암사지(楊州 檜巖寺址) 1609
미술.건축 지식채널e. 문화유산 시리즈 민중불교의 상징 화순 운주사 1637
미술.건축 지식채널e.130116.문화유산 시리즈 - 감은사 삼층석탑 1908
미술.건축 지식채널e.121107.문화유산 시리즈 - 승탑의 백미 쌍봉사 철감선사탑 2570
미술.건축 지식채널e.121010.문화유산시리즈 - 화려한 폐사지 합천 영암사터 2415
미술.건축 지식채널e.121121.문화유산 시리즈 - 비례, 균형, 조화의 불국사 2816
미술.건축 [한국문화100] 인류 최고의 건축물, 석굴암 1749
영화애니 오세암 (만화 동영상 animation) 1663
인물 KBS 구마라습 - 동으로 간 푸른 눈의 승려 1622
템플스테이 불교문화사업단 -Templestay - The Way of Templestay 1231
사찰음식 문화포털 - 한식음악여행-사찰음식편 1326
사찰음식 MBC한국의맛 100선 - 사찰음식 1662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