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

No Attached Image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

     

      왜 나는 조그만 일에만 분개하는가
      저 왕궁 대신에 왕궁의 음탕 대신에
      50원짜리 갈비가 기름 덩어리만 나왔다고 분개하고
      옹졸하게 분개하고 설렁탕집 돼지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하고 

      옹졸하게 욕을 하고
      한번 정정 당당하게
      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서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 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20원을 받으러 세번째 네번째
      찾아오는 야경꾼들만 증오하고 있는가 
      옹졸한 나의 전통은 유구하고 이제 내 앞에 정서로
      가로놓여 있다

      이를테면 이런 일이 있었다
      부산의 포로수용소의 제 14 야전병원에 있을 때
      정보원이 너어스들과 스폰지를 만들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나를 보고 포로 경찰이 되지 않는다고
      남자가 뭐 이런 일을 하고 있느냐고 놀린 일이 있었다
      너어스들 옆에서

      지금도 내가 반항하고 있는 것은 이 스폰지 만들기와
      거즈 접고 있는 일과 조금도 다름없다
      개의 울음소리를 듣고 그 비명에 지고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진다
      떨어지는 은행잎도 내가 밟고 가는 가시밭

      아무래도 나는 비켜 서 있다 절정 위에는 서 있지
      않고 암만해도 조금쯤 옆으로 비켜 서 있다
      그리고 조금쯤 비켜 서 있는 것이 조금쯤
      비겁한 것이라고 알고 있다!

      그러니까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한다
      이발쟁이에게
      땅주인에게는 못하고 이발쟁이에게
      구청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20원 때문에 10원 때문에 1원 때문에
      우습지 않느냐 1원 때문에

      모래야 나는 얼마큼 적으냐
      바람아 먼지야 풀아 나는 얼마큼 적으냐
      정말 얼마큼 적으냐.... 
                   

        김수영,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



    누구나 자신이 남보다 낫다고 생각하고 그렇지 못한 경우 남보다 나아 보이려고 한다. 시인들도 마찬가지다. 멋있는 존재가 아닌 경우 멋잇는 체라도 하려고 하는 속물 중의 속물이 시인들이다. 김수영은 그러한 겉멋을 거부한 시인 중의 하나이다. 그는 시를 멋있게 꾸미려고 노력하지 않고 오히려 멋있어 보이려는 욕구를 지나칠 정도로 억압한 시인이다. 그 점이 오히려 김수영의 매력일지도 모른다.
    "어느 날 고궁에서"라는 시는 김수영의 시의 본질을 잘 드러내주는 시 중의 하나이다. 이 시에서 시인은 자신의 못난 소시민적 본질을 적나라하게 폭로하고 비판하다.
    첫번째 연에서 시인은 왕궁의 거대한 음탕에 대해서는 욕을 하지 못하면서 50원짜리 갈비에 기름덩어리만 나왔다고 설렁탕집 돼지 같은 주인년한테 욕을 해대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시에서 "설렁탕집 돼지같은 주인년" 같은 욕설과 비어들은 자신의 속된 모습을 드러내기 위한 의도적인 장치이다.
    두번째 연에서 시인은 붙잡혀간 소설가를 위해 정정당당하게 언론의 자유를 요구하고 월남파병에 반대하는 자유를 이행하지 못하고 20원 받으러 세번째 네번째 찾아오는 야경꾼만 증오하고 있는 야비한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3연에서 시인은 이러한 자신의 옹졸한 모습이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고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4연에서 시인은 포로수용소에서 거즈 접던 일을 생각하면서 자신을 비참할 정도로 옹졸한 인물로 비하시킨다. 북으로 끌려가던 중 개천 비행장 근처에서 폭격을 만나 그 틈에 탈출했다가 유엔군에게 포로로 잡혀 온갖 고초를 겪은 시인 입장을 고려할 때 포로경찰이 되지 않고 거즈를 개키고 있는 것은 부조리한 현실과 타협하지 않기 위한 김수영 나름의 현실에 대한 반항이다. 그러나 그것은 적극적으로 현실과 맞부딪쳐 그 모순을 드러내고 대항하는 것이 아니라 다칠까봐 몸을 사리는 제스츄어에 불과하다. 김수영은 거즈접던 일을 회상하면서 자신의 비참할 정도로 왜소하기 짝이 없는 모습을 독자들에게 폭로하고 있다. 다음에 시인은 현재 자신의 반항도 거즈접는 일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밝히고 자신에게 머리에 피도 안 마른 애놈의 투정에 지고 개 울음 소리를 듣고 그 비명에 질 정도로 겁쟁이에 지나지 않으며 밟고 가는 은행잎까지 가시밭길로 생각할 정도로 왜소한 사람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자신이 절정에 서 있지 않고 항상 비켜 서 있음을 고백하고 비켜 서 있는 것이 비겁한 일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이발쟁이에게, 땅주인한테는 못하고 이발쟁이에게, 구청직원에게는 못하고, 동회직원에게도 못하고 야경꾼에게 10원 때문에, 20원 때문에 이렇게 옹졸하게 반항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 모든 것이 절정에 서서 현실의 부조리와 대결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두려움 때문에 그러한 반항을 하지 못하고 그것이 비겁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비겁하게 보이지 않으려는 옹졸한 태도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인은 모래야 나는 얼마나 적으냐, 풀아 바람아, 먼지야 나는 얼마나 적으냐, 정말 얼마나 적으냐라는 말로 자신의 왜소한 모습을 풀, 먼지, 바람 등 미미한 것들에 대조시켜 자신의 모습을 극단적으로 왜소한 인물로 비하시키고 있다.
    제목 그대로 어느날 고궁에 갔다가 나오면서 우리 역사와 현실을 생각해보고 자신의 삶과 시를 쓰는 행위가 얼마나 한심한 것인지 되돌아보고 비판하는 내용이다. 김수영에게 있어서 하나의 현실은 벽이다. 50, 60년대 우리 현실은 부조리하기 짝이 없는 세계이다.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현실의 벽을 넘어 시적 완성을 도모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현실의 벽이 두터울수록 우리의 삶은 그 안에 갇혀 구속받게 되고 인간의 자유의지는 현실의 벽에 부딪쳐 좌절되게 마련이다. 어느 날 고궁을 나오면서는 현실의 벽에 부딪쳐 왜소화될 수밖에 없었던 당시의 여건과 그것을 넘어서 완전한 사회를 구축하려는 시인의 갈등을 잘 드러내주고 있는 시이다. 특히 외부 세계를 비판할 때 그것을 직접 공격하는 것이 아니라 못난 자신을 비판함으써 김수영은 우리의 도덕적 양심을 일깨우고 스스로를 돌아보게 한다


    http://nongae.gsnu.ac.kr/~jcyoo/reread/some.html


문학에 빠지다

시, 문학.. 작가의 프레임으로 바라보는 또다른 세계

  1. 산가1

    Category석성일 Views1094
    Read More
  2. [김수영] 어느날 고궁을 나오면서

    Category Views1575
    Read More
  3. [신석정]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

    Category Views1581
    Read More
  4. [마종기] 우화의 강

    Category Views1862
    Read More
  5. [피천득] 오월

    Category Views1944
    Read More
  6. [서정주] 자화상

    Category Views2087
    Read More
  7. [셀 실버스타인] 아낌없이 주는 나무

    Category Views1413
    Read More
  8. [김광규] - 나

    Category Views171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