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법상

유식의 제법분류 - 오위백법 5위 100법 해설

Extra Form
출처 아라마제공,수집자료

 

 

1. 8가지 인식의 주체(心王)

 

1) 안식(眼識) ; 각종 색상(色相)과 사물의 인식

2) 이식(耳識) ; 각종 소리의 인식

3) 비식(鼻識) ; 각종 냄새의 인식

4) 설식(舌識) ; 각종 맛의 인식

5) 신식(身識) ; 각종 감촉의 인식

6). 의식(意識) ; 5식의 대상 이외에 인식 대상인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이 있다. 그리고 의식의 작용에 자성분별(自性分別수념분별(隨念分別계탁분별(計度分別) 등이 있고, 의식의 종류에 독산의식(獨散意識몽중의식(夢中意識정중의식(定中意識광연의식(廣緣意識) 등이 있다.

7) 말라식(末那識) ; 7식은 전도식(顚倒識)으로 사량(思量분별(分別망상(妄想)하는 인식, 염오식(染汚識), 자아의식인 아치(我癡, 참나를 망각아애(我愛, 자신에 대한 애착으로 배타적인 차별심아만(我慢, 자타가 평등함을 망각하여 자기만이 제일이라는 생각아견(我見, 자기 편견에 집착하는 것)에 사로잡혀 있는 것을 말한다.

8) 아뢰야식(阿賴耶識) ;

1) 장식(藏識, 모든 것을 함장)의 의미가 있는데, ()의 의미로 능장(能藏, 모든 업력을 저장시킴), 소장(所藏, 모든 업력을 받아들여 보존함), 집장(執藏, 모든 선악의 행위를 유발시키는 기능을 보유함) 등의 의미가 있다.

2) 이숙식(異熟識)은 전생과 금생 그리고 내생에 윤회하면서 다른 과보를 받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3) 종자식(種子識) 또는 과보식(果報識)이라고도 하는데 모든 업력을 보존하면서 선악업력을 다른 여타의 식에 공급하여 발생하게 하며 모든 선악의 행동이 나타나게 한다. 그리하여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 등의 육도 가운데 업력에 따라 발생하는 생명의 주체가 되는 동시에 윤회의 주체가 되는 것을 말한다.

 

* 유식의 목적인 전식득지(轉識得智)

 

이상과 같은 심식들의 중요한 기능은 일시적인 기능으로 궁극적으로 망식(妄識)으로 뒤얽힌 번뇌를 전환시켜 때묻지 않는 청정한 진여성(眞如性)을 개발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따라서 유식학의 의의는 각각의 식 작용을 전환하여 지혜를 개발하여 열반성과 불성에 귀환하는 것이다.

  • 전오식(前五識)성소작지(成所作智)
  • 제육의식(第六意識)묘관찰지(妙觀察智)
  • 제칠말라식(第七末那識)평등성지(平等性智)
  • 제팔아뢰야식(第八阿賴耶識)대원경지(大圓鏡智)

 

 

 

2. 인식의 주체와 작용하는 심소(心所)

 

1) 모든 마음에 널리 미치는 심소[변행(遍行) 5가지], 2) 특별한 대상에만 작용하는 심소[별경(別境) 5가지], 3) 선한 대상에 작용하는 심소[() 11가지], 4) 근본적인 오염(汚染)의 심소[번뇌(煩惱) 6가지], 5) 부수적인 마음의 오염(汚染)[수번뇌 (隨煩惱) 20가지]등이 있다.

 

 

a. 5가지 모든 마음에 두루 미치는 마음 작용[변행(遍行)]

1) (); 감촉

2) 작의(作意); 意義 활동

3) (); 감수능력

4) (); 구상, 표상작용

5) (); 의지

 

 

b. 5자지 특별한 대상과 사물에 작용하는 마음[별경(別境)]

1) (); 욕망

2) 승해(勝解); 수승한 이해, 수승한 지혜

3) (); 기억력

4) (); 삼매력, 선정력

5) (); 지혜력

 

 

c. 11가지 착한 대상과 작용하는 마음[()]

1) (); 믿는 마음

2) (); 참회하는 마음

3) (); 수치스러움을 느끼는 마음

4) 무탐(無貪); 탐내지 않는 마음

5) 무진(無瞋); 화내지 않는 마음

6) 무치(無癡); 어리석지 않는 마음

7) (); 정진

8) 경안(輕安); 신체나 마음이 경쾌함

9) 불방일(不放逸); 악을 끊고 선을 닦는 마음

10) 행사(行捨); 평화로운 마음

11) 불해(不害); 해치려는 마음이 없는 마음

 

 

d. 6가지 근본적인 더러움에 물든 마음[번뇌(煩惱)]

1) (); 탐욕과 갈애

2) (); 성내는 마음

3) (); 진실, 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마음, 즉 무명

4) (); 자기는 타인보다 뛰어나다는 오만불손한 마음, (), 과만(過慢), 만과만(慢過慢), 아만(我慢), 증상만(增上慢), 비하만(卑下慢), 사만(邪慢)

5) (); 인과응보(因果應報)와 사제법(四諦法)의 도리, 삼보(三寶)를 의심하는 것

6) 악견(惡見); 그릇된 견해, 즉 유신견(有身見), 변집견(邊執見), 사견(邪見), 견취견(見取見), 계금취견(戒禁取見)

 

 

e. 20가지 부수적인 번뇌[수번뇌(隨煩惱)]

1) (忿); 분노의 마음으로 눈앞에서 직접적으로 해를 당했을 때 일어나는 마음작용이다.

2) (); 원한의 마음으로 상대에게 당한 해를 복수하려고 품고 있는 마음

3) (); 자기의 잘못을 숨기려는 마음, 어리석음의 일부이며 악작의 선행이 되는 마음작용이다.

4) (); 매도하려는 마음으로 상대방을 놀라게 하며 어지럽게 하는 마음

5) (); 질투의 마음으로 다른 사람이 명성과 재산을 가진 것에 시기함

6) (아낄); 인색한 마음으로 재시(財施)를 꺼리는 마음

7) (속일); 속이려는 마음으로 이익이나 명성을 얻으려고 남을 속이는 마음

8) (); 현혹시키려는 마음으로 자기의 잘못을 감추고 상대를 현혹시킴

9) (); 살심으로 상대를 때리거나 결박, 협박하려는 마음작용이다.

10) (교만할); 교만한 마음으로 재산·명예·학문·건강·권력들에 의존하여 우쭐하는 마음작용이다.

11) 무참( ); 죄를 짓고도 참회하려는 생각이 없는 마음

12) 무괴(無愧); 죄를 범하고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 없는 것을 말함

13) 혼침(어두울); 몽롱한 마음의 상태로 대상을 명확하게 지각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14) 도거(掉擧); 마음이 들뜬 상태로 삼매에 들지 못하는 마음의 상태

15) 불신(不信); 연기, 사제, 법인 등의 올바른 진리와 삼보를 믿지 않는 마음

16) 해태(懈怠); 게으른 마음으로 선행에 게으르고 모든 일을 꺼리는 마음

17) 방일(放逸); 방종하여 세밀성과 정밀성이 결여되어 아무렇게나 하려는 마음작용이다.

18) 실념(失念); 어지러운 마음으로 산란함의 원인

19) 산란(散亂); , , 치의 어지러운 마음으로 삼매를 방해하는 것

20) 부정지(不正知); 사물의 올바른 인식을 방해하여 올바른 행위를 방해하는 마음작용이다.

 

 

f. 네 가지 결정되지 않는 마음 작용[부정심(不定心)]

1) (); 후회하는 마음으로 그릇된 일을 한 것을 후회하는 마음

2) (); 수면, 억압된 마음으로 가위눌린 마음

3) (); 거친 추리 작용으로 행()의 일부이며, ()와 함께 작용하며 각()이라고도 한다.

4) (); 미세한 추리 작용으로 심()과 유사하나 더욱 미세한 마음의 작용으로 관()이라고도 한다.

 

 

 

3. 물질(repa)-, , , , 공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

 

(인식의 주체로서 물질) (인식의 객체로서 물질)

1) 안근(眼根)............................................1) 색경(色境)

2) 이근(耳根)............................................2) 성경(聲境)

3) 비근(鼻根)............................................3) 향경(香境)

4) 설근(舌根)............................................4) 미경(味境)

5) 신근(身根)............................................5) 촉경(觸境)

               ..............................................6)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4. 물질적, 정신적 요소에 포함될 수 없는 힘인 부상응(不相應)

 

1) (); 한 개인의 생의 흐름을 지속하게 하는 상속력(相續力)

2) 명근(命根); 종자식 즉 아뢰야식에 의해서 일생을 유지시키는 생명력

3) 중동분(衆同分); 동류를 유지시키는 힘

4) 이생성(異生性); 이생류를 유지시키는 힘

5) 무상정(無想定); 6식의 활동을 중지시키고 4대를 조화시켜 무상천의 과보를 받게 하는 선정의 힘

6) 멸진정(滅盡定); 6식과 7식의 활동을 중지시키고 무루(無漏)의 선정을 닦게 하는 성자의 선정력

7) 무상사(無想事); 무상천(無想天)의 과보에 머무르려는 힘

8) 명신(名身); 주어의 모임

9) 구신(句身); 주어와 술어의 모임

10) 문신(文身); 음소의 모임

11) (); 본래는 없으나 지금은 있는 듯 한 것(생성)

12) (); 계속되면서 변하여 달라지는 것(쇠퇴)

13) (); 잠시 동안은 변하지 않으면서 머물러 있는 것(지속)

14) 무상(無常); 잠시 동안은 있지만 다시 무()로 돌아가는 것(변화, 소멸)

15) 유전(流轉); 온갖 존재가 인과(因果)로 상속하여 끊임이 없는 것

16) 정이(定異); 인과(因果)의 선악(善惡)이 결정되어 구별이 분명한 것

17) 상응(相應);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가 상응하는 것

18) 세속(勢速); 인과(因果)의 상속이 빠르게 진행되는 것

19) 차제(次第); 유위(有爲)의 온갖 법에 순서가 있는 것

20) (); 존재의 방위가 존재하는 것

21) (); 공간과 상응하여 상속(相續)하는 기본 성질

22) (); 존재의 구별과 차별을 가능케 하는 성질

23) 화합(和合); 하나의 결과에는 많은 원인과 반연이 모이는 성질

24) 불화합(不和合); 화합의 반대로 온갖 존재는 각각의 독자성이 있는 성질

 

 

 

5. 6가지 불변적인 요소인 무위법(無爲法)

 

1) 허공무위(虛空無爲); 모든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을 여읜 적정처(寂定處)

2) 택멸무위(擇滅無爲); 무루지(無漏智)에 의해서 얻어진 적정처(寂定處)

3) 비택멸무위(非擇滅無爲); 자성청정심(自性淸淨心)에 의해서 얻어진 적정처(寂定處)

4) 부동무위(不動無爲); 감수작용이 완전히 멸한 색계 제4선정 적정처(寂定處)

5) 상수멸무위(想受滅無爲); ()과 수()가 멸한 무색계의 적정처(寂定處)

6) 진여무위(眞如無爲);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진실 그대로의 적정처(寂定處)

 

 

출처 : http://cluster1.cafe.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IlyQ&fldid=ISQF&datanum=91&openArticle=true&docid=1IlyQISQF9120110305200850 


표준과정

동국대학교 불교학부와 대한불교조계종 표준과정을 바탕으로 한 불교학 커리큘럼입니다
수정사항이나 문의사항이 있으면 댓글을 달아주세요

Title
List of Articles
카테고리 제목 조회 수
계율학 율학승가대학원 표준과정 17772
유식법상 유식의 제법분류 - 오위백법 5위 100법 해설 1578
유식법상 유식삼십송 한문현토 아라마 직역 file 2812
유식법상 [도표 유식 개괄] 법상 이권초 란? 1 file 7212
유식법상 이권초 하권 2047
유식법상 이권초 상권 1991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