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우리말 금강반야바라밀경

Extra Form
출처 우리말

우리말 금강경

 

1. 법회를 이루시다

 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대비구 1,250인과 더불어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시었다. 마침 공양때가 되어 세존께서는 가사를 수하시고, 발우를 드시고 사위성으로 들어가시어 한 집씩 차례로 걸식을 하시었다. 다시 정사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마치신 뒤 가사와 발우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후 자리를 마련하고 앉으시었다.

 

2. 수보리가 법을 청함

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에서 일어나 가사를 오른쪽 어깨에 단정히 걸치고 오른쪽 무릎을 꿇어 합장하며 공손히 부처님께 여쭈었다. 「희유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염려하여 보살펴 주시고, 보살들에게 중생을 잘 제도하도록 당부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위없는 깨달음)을 내고는 마땅히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마음가짐을 다스려야 하옵니까?」 「좋은 말이다. 참으로 좋은 말이다. 수보리야 네말과 같이 여래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피고 보호하며 모든 보살들에게 불법을 맡기고 당부하노니 자세히 듣거라. 내 그대를 위해 설하리라. 선남자선여인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내고는 마땅히 이와 같이 머물며, 이렇게 스스로의 마음을 항복받아야 하느니라.」 「예, 세존이시여, 자세히 듣고자 하옵니다.」

 

3. 대승의 바른 뜻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었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다음과 같은 마음가짐으로 스스로 그 마음을 바로잡아야 하나니 이 세상의 생명 중에 알에서 깨어난 것이거나 태로 생긴 것이거나 습기로 생긴 것이거나 화()하여 생긴 것이거나 형상이 있건 없건, 생각이 있건 없건, 그리고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고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니건 가리지 않고 모두 제도해서 무여 열반에 들게 하니라. 이처럼 한량없고 끝없는 중생을 제도하였으되 실로 제도를 얻은 중생은 없다 할 것이니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약 보살 마음에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다면 그는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4. 묘행은 머무름이 없음

「또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온갖 법에 대하여 얽매이지 않고 보시를 행할지니 이른바 색에 얽매이거나 성.향.미.촉.법에 얽매이지 않아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보시하되 상을 내어서는 안되느니라. 왜냐하면 만약 보살이 상없이 보시를 행하면 그 복덕이 헤아릴 수 없이 크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그대는 어찌 생각하느냐? 동쪽 하늘의 허공이 얼마나 크고 넓은지 능히 헤아릴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렇다면 수보리야. 동서남북 그리고 4유와 상하 허공은 헤아릴 수 있겠느냐?」 「헤아릴 수 없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이 상을 내지 않고 행하는 보시의 복덕이 마치 이와 같이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오직 나의 가르침대로 행해야 하느니라.」

 

5. 참된 이치를 바로 봄

「수보리야, 그대는 어찌 생각하느냐? 나의 외모를 가지고 여래라고 할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외모를 가지고는 여래라고 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신상이란 외모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다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되 「무릇 형상을 지닌 것은 모두 다 허망한 것이니 만약 모든 모양이 모양이 아님을 알면 곧 여래를 보리라.」

 

6. 올바른 믿음을 희유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혹 어떤 중생이 이러한 말씀을 듣고서 진실이라고 믿는 마음을 일으키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되 「걱정하지 마라, 여래가 이 세상을 떠난 뒤 오백세가 지나가도 계를 지키고 복을 닦는 자는 이 말씀에 능히 믿는 마음을 일으키고 그것을 진실이라 여기리니 그대는 이 사람이 한 부처님께서나 몇 분 부처님에게만 귀의하여 선근을 심은 것이 아니라 이미 이루 한량없이 많은 부처님께 온갖 선근을 심었으므로 이 말씀을 듣고 보고나 잠깐 생각만 해도 청정한 믿음을 일으킨다는 것을 마땅히 알아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이런 것을 다 잘 알고 능히 보나니 중생들은 이루 헤아릴 수 없는 복덕을 누리게 되느니라. 왜냐하면, 그들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과 법상도 없고, 또한 비법상도 없기 때문이니라. 중생들이 만약 마음에 상이 있으면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얽매이게 될 것이니라. 만약 법상에 집착하면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얽매이게 될 것이며, 만약 비법상에 집착한다 해도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얽매이게 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마땅히 법에 집착하지 말 것이며 비법에도 집착하지 말아야 하느니라. 그렇기에 여래는 늘 ‘너희 비구들은 나의 설법을 뗏목같이 여기라’하였나니 법 마저도 버려야 하거늘 하물며 비법상이겠는가.」

 

7. 얻을 것도,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또한 여래가 설한 법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은 일정한 법이 없는 것을 이름지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오며, 또한 정한 바 없는 것을 여래께서 가히 설하셨나이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법은 다 이해할 수도 없으며, 말할 수도 없으며, 또한 법이 아니며, 법이 아님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은 모든 성현이 다 무위의 법으로써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8. 법에 의해서 나다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하냐?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가득찬 칠보를 모두 보시한다면 그 사람이 지은 공덕이 과연 많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했다. 「매우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그 복덕이 곧 복덕의 성품이 아니기 때문에 여래께서 복덕이 많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만일, 또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 다만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 준다면 그 복덕은 칠보를 보시한 복덕보다 훨신 클 것이다. 수보리야, 왜냐하면, 모든 부처님께서나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법이 모두 이 경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이른바 불법이라는 것도 곧 불법이 아니니라.」

 

9. 하나의 상도 없어야 함

「수보리야, 어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나는 수다원의 과를 얻었노라’ 라고 하는 생각을 능히 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입류(入流)라 일컬을 뿐이지 실은 들어간 바 없기 때문입니다. 색.성.향.미.촉.법에 집착하지 않음을 일컬어 수다원이라 하는 것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은 어떠냐? 사다함이 ‘나는 사다함의 과를 얻었노라’ 라고 하는 생각을 능히 할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이란 일왕래(一往來)라 하지만 실은 가고 오는 바가 없으며, 다만 이름하여 사다함이라 일컬을 뿐입니다.」

「수보리야, 또 어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나는 아나함의 과를 얻었노라’ 라고 하는 그런 생각을 능히 하겠느냐?」 수보리가 다시 아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아나함은 불래(不來)라 하지만 실은 오지 아니함이란 없기 때문에 이름하여 아나함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수보리야, 어찌 생각하느냐? 아라한이 ‘나는 아라한 도를 얻었다’고 능히 생각하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실로 아무것도 아라한이라 할 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나는 아라한 도를 이루었다’라고 한다면 이는 곧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하는 것이 될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는 저에게 모든 고뇌에서 벗어나 마음의 고요(無諍三昧)를 얻은 사람 가운데 가장 으뜸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세존이시여, 저는 욕망을 떠난 아라한이라는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나는 아라한 도를 이루었다’라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수보리는 아란나 행을 좋아하는 자’라고는 하시지 않으실 것입니다. 그러나 실로 수보리는 행하는 바가 없기 때문에 세존께서는 ‘수보리야 말로 아란나행을 좋아하는 자’ 라고 일컬어 주시는 것입니다.」

 

10. 정토를 장엄함

부처님께서 다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었다. 「네 생각은 어떠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불 회상에 있을 때에 법을 얻은 바 있다고 생각하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세존께서 연등불 회상에 계실 때에 법에 대하여 실은 얻으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이는 또 어찌 생각하느냐?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하느냐? 아니하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장엄한다 함은 곧 장엄이 아니오며 다만 장엄이라고 일컬을 따름입니다.」

「수보리야, 그러므로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와같이 맑고 깨끗한 마음을 내어야 하며 결코 색에 집착하여 마음을 내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성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마땅히 집착하는 마음을 내어서는 안되느니라. 수보리야. 비유하건대, 여기 어떤 사람이 있어. 그 사람의 몸이 수미산 같다면 그 몸집이 크다고 하겠느냐, 크지 않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큽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큰 몸은 몸이 아니라 큰 몸이라 이름하셨기 때문입니다.」

 

11. 무위복덕이 으뜸이다.

「수보리야, 항하에 있는 모래 수만큼의 많은 항하가 있다면 그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수가 많다고 하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러 항하만 하여도 무수하온데 하물며 그 모래야 말할 나위 있겠습니까?」 「수보리야, 내 이제 그대에게 진실한 말로서 이르노니,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그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되는 삼천대천세계에 가득한 칠보로 보시한다면 얻는 바 복덕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여 아뢰었다.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거듭 일러 말씀하시었다. 「만약 선남자선여인이 이 경 가운데 다만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또 남을 위해 설명해 준다면 그 복덕이 항하의 모래와 같이 많은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훨신 수승하니라.」

 

12. 바른 가르침을 존중함

「또 수보리야, 이 경을 설하여 주거나 단지 사구게만 설명하더라도 온세상의 천아수라들이 공양하기를 마치 부처님 탑에 공양하듯 할 것이다. 하물며, 사람이 경을 받아 지니어 읽고 외우고 함에 있어서랴. 수보리야, 이런 삶은 세상에서도 드문 가장 높고 제일가는 법을 성취하게 되리니 이 경이 있는 곳은 곧 부처님께서 계시고, 부처님의 제자가 머무는 곳이니라.」

 

13. 여법하게 받아 지님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오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이 경의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이니 그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받들어 지녀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그 까닭은 내가 말한 반야바라밀은 그것이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반야바라밀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그대는 어찌 생각하느냐? 여래가 말한 바 법이 있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여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말씀하신 바가 없으십니다.」 「세계에 있는 티끌의 수가 많다고 생각하느냐?」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는 모든 티끌이 티끌이 아니라, 그 이름이 티끌이라고 말하였으며 세계도 세계가 아니라, 그 이름을 세계라고 말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이 어떠하냐?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상만 보고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설하신 32상은 그 이름이 32상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만약에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저 항하의 모래 수만큼이나 많은 몸과 목숨을 바쳐 보시했다 하더라도,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이 경 가운데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지니고 이것을 남을 위해 설명해 준 복덕만은 못하리라.」

 

14. 상을 여의고 적멸에 이름

그때 수보리는 이 경을 설하시는 것을 듣고 그 깊은 뜻을 이해하고 눈물을 흘리며 부처님께 아뢰었다. 「희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처럼 뜻이 깊고도 깊은 경을 설하신 것은 제가 지혜의 눈을 뜬 이후로 일찌기 이런 경을 듣지 못했던 것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약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는 마음이 깨끗해지면 실상을 깨달으리니, 이 사람은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실상이라는 것도 실은 상이 아니므로 세존께서는 다만 그 이름이 실상일 뿐이라고 설하시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이경을 듣고 그대로 믿고 받아 지니기는 어렵지 않사오나, 만일 다음 세상 마지막 오백세에 중생들이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고 받아 지니면 그는 아마도 세상에서 훌륭한 사람이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은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으며,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은 아상이 곧 상이 아니고, 인상중생상수자상도 곧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모든 상을 여읜 이를 부처라 하기 때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었다. 「옳다, 그러하다. 혹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면 이 사람은 매우 훌륭한 사람임을 알아야 한다. 수보리야, 왜냐하면 여래가 설한 제일바라밀이 제일바라밀이 아니라 다만 그 이름이 제일바라밀이기 때문인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인욕바라밀도 인욕바라밀이 아니라고 설하는 까닭은 무엇이겠느냐? 수보리야, 내가 전생에 가리왕에게 마디마디 몸이 찢길 적에 나에게는 아상도 인상도 중생상도 없었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왜 그러냐 하면, 전생에 내가 온몸의 마디마디와 사지를 찢길 때 만약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었다면 마땅히 성내고 원통한 마음을 일으켰을 것이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또 전생 오백세에 인욕선인이었을 때를 생각하니, 그 세상에서도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일체의 상을 떠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야 할 것이니 마땅히 색에 머무르는 마음을 내어서는 안되며 성.향.미.촉.법에 머무르는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마땅히 머무름이 없는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만일 마음이 머무는 데가 있으면 이것은 머무름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는 ‘보살의 마음은 마땅히 색에 머무르지 않는 보시를 해야 한다’라고 말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일체 중생에게 이익되게 하기 위하여 보시 하여야 하나니 여래가 말씀한 일체의 상도 곧 상이 아니며, 또 일체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진리를 말하고, 진실을 말하고, 실상(實相)그대로 말하며 거짓말을 하지 않으며 두 가지 말을 하지 않는다.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이 법은 진실도 없고 거짓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만약에 보살이 법에 머물러 보시하는 것은 마치 어두운 곳에 있는 사람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고, 만약에 보살이 법에 머무르는 마음없이 보시하면 마치 눈 밝은 사람이 밝은 햇빛 아래서 모든 것을 보는 것과 같느니라.

수보리야, 장차 오는 세상에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능히 이 경을 수지 독송하면 여래가 부처님의 지혜로써 그 사람을 낱낱이 알고 하나도 빠짐없이 지켜 보아 그들로 하여금 모두가 한없는 공덕을 얻느니라.」

 

15.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한량없이 긴 세월 동안 아침마다 항하의 모래수만큼의 몸을 나투어 보시하고, 낮에도 항하의 모래수만큼의 몸을 나투어 보시하며, 저녁에도 또한 항하의 모래수 만큼의 몸을 나투어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억겁동안 보시했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삿된 마음없이 믿는 이가 있다면 그 복덕이 훨씬 뛰어날 것이니 하물며 이 경을 직접 사경하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다른 사람을 위해 알지 쉽도록 설명해 줌에 있어서야 두말할 나위 없지 않은가.

수보리야, 이 경의 핵심은 실로 불가사의하고 헤아릴 수 없으며 가이없는 공덕이 있느니라. 그러므로 여래는 대승의 마음을 낸 사람을 위하여 이 경을 설했으며 최상승의 마음을 낸 사람을 위해 이 경을 설하는 것이니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널리 다른 사람을 위해 들려주면 여래는 그 사람을 낱낱이 보시기 때문에 이루 헤아릴 수 없고 이루 말할 수 없고 가이없는 불가사의한 공덕을 이루리니 이러한 사람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되느니라. 수보리야, 소승법을 좋아하는 자는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에 집착하여 이 경을 알아듣지도 못하고 받아 지니지도 못하며 읽고 외우지도 못하기에 남에게 설명해 주지도 못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어디서든지 이 경이 있는곳은 천인인간아수라가 반드시 공양할 것이니라. 그곳은 곧 부처님을 모신 탑과 같아 모든 이들이 와서 공경하고 예배하고 주위를 돌면서 온갖 아름다운 꽃과 향을 뿌리게 될 것이니라.」

 

16. 능히 업장을 깨끗이 함

「또한 수보리야, 선남자,선여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하는데 혹 사람들에게 경멸과 천대를 받게 된다면 그는 지난 날에 지은 죄업으로 악도에 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금생에 남으로부터 천대를 받는 탓으로 전생에 지은 그 죄업은 소멸되고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게 될지니라.

수보리야, 내가 지난날의 헤아릴 수 없는 아승지겁 동안을 돌이켜 보면 연등불회상에서 8백 4천만억 나유타의 여러 부처님을 다 만나 뵙고, 모두 공양하고, 그 뜻을 받들어 섬기고 하여 한 분도 그냥 지나쳐 버리지 않았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뒷날 말법세상에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워 얻은 공덕은 내가 모든 부처님께 공양한 그 공덕으로는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며 천만억분 내지 어떤 숫자적 비유로도 능히 미치지 못하리라.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선여인이 이 다음 말법세상에서 이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하여 받는 그 공덕에 대하여 내가 다 설한다면 혹 어떤 사람은 그 말을 듣고 마음이 어지러워 의심하고 믿지 않을 것이다. 수보리야, 그대는 명심하라. 이 경은 그 뜻이 가히 불가사의할 뿐 아니라 그 과보 또한 능히 헤아릴 수 없느니라.」

 

17. 마침내 무아가 됨

이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고는 어떻게 머무르고 어떻게 스스로의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었다. 「선남자 선여인들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었거든 의당 ‘내가 일체의 중생을 열반에 이르도록 제도하리라’고 마음을 낼지니 일체 중생을 다 제도하고 나서는 ‘실은 한 중생도 제도한 바가 없다’고 생각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왜냐하면 만약에 보살이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으면 곧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내는 법이라는 것은 없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연등부처님 회상에 있을 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 있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설하신 바에 따르면, 세존께서 연등부처님 처소에 계실 때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어떤 법이 있어 얻은 것은 아니라고 알고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옳다. 그러하니라, 수보리야. 실로 여래는 법이 없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얻은 것이니라. 만약에 법이 있어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면, 연등부처님께서는 나에게 ‘그대는 장차 오는 세상에 반드시 부처가 될 것이며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니라’하고 수기를 내리시지 않았을 것이니라. 그러나 실로 법이 없었기 때문에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으며 그러므로 연등부처님께서 ‘그대는 내세에 반드시 부처가 되리니 그 이름을 석가모니라 하라’고 말씀을 하셨느니라. 여래란 곧 ‘모든 법이 진실하다’는 뜻이기 때문이니라. 만약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한다면 실로 법이 없기 때문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은 것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 가운데에는 참된 것도 없고 허망한 것도 없느니라. 그러므로 ‘모든 법이 다 불법’이라고 여래가 설하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일체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곧 일체법이 아니며 다만 그 이름이 일체법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비유하여 말하면 어떤 사람의 몸이 크다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가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사람의 몸이 크다고 하신 것은 곧 큰 몸이 아니라 그 이름이 큰 몸인 것입니다.」 「수보리야, 보살도 역시 이와 같아서 ‘내가 반드시 무수한 중생을 제도 하리라’ 라고 말한다면 곧 보살이라 이름하지 못할 것이니 왜냐하면 실로 법에 집착하지 않는 것을 일컬어 보살이라 하기 때문이니라. 그러므로 부처님은 ‘일체법이란 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 라고 설하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나는 반드시 불국토를 장엄하리라’라고 말한다면 보살이라고 일컫지 않느니라. 왜냐하면 여래가 설한 불국토의 장엄은 곧 장엄이 아니라 다만 그 이름이 장엄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만약에 보살이 무아의 법을 통달했다면 여래는 ‘이야말로 진실한 보살’이라고 일컬을 것이다.」

 

18. 한몸이 되어 한가지로 봄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하냐? 여래에게 육신의 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육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 천신의 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 천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 지혜의 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혜안이 있습니다」 「여래에게 진리의 눈이 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법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그렇다면 여래에게 부처의 눈이 있다고 생각하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에게는 불안이 있습니다.」 「수보리야, 항하에 있는 모래를 여래는 모래라 말하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그렇다면 만약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수만큼의 항하가 있고 그 모래알 수대로 부처의 세계가 있다면 가히 많다 하겠느냐?」「대단히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다시 수보리에게 말씀하시었다. 「그렇게 많은 국토 가운데에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는 낱낱이 다 알고있느니라. 여래가 말하는 갖가지 마음이란 마음이 아니라 다만 그 이름이 마음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왜냐 하면 과거의 마음도 가히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또한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19. 법계를 통하여 교화함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만약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 쌓아놓고 보시한다면 그 인연으로 해서 얻는 복이 많겠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이 보시의 인연으로 얻는 복덕은 심히 많을 것입니다.」

「수보리야, 만약에 그 복덕이 실로 있다면 여래는 ‘ 복덕을 많이 얻을 것이다’라고 말하지 않겠지만 복덕이란 없는 것이기 때문에 여래는 ‘복덕을 많이 얻을 것’이라고 말하느니라.」

 

20. 색과 상을 여의다.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를 거룩한 모습을 갖춘 형상에서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모습을 갖춘 형상에서 여래를 볼 수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룩한 형상은 곧 거룩한 형상이 아니므로 이를 거룩한 형상이라고 여래는 말씀하시었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그대 생각은 어떠한가? 여래의 거룩한 상호를 갖춘 모습에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거룩한 상호를 갖춘 모습에서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거룩한 상호는 곧 거룩하지 않으므로 이를 거룩한 상호라 일컫기 때문입니다.」

 

21. 설하되 설한 바 없다.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법을 설한 바 있다’고 말하지 말며 그런 생각도 하지 마라.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가 법을 설한 바 있다’고 말한다면 그것은 곧 여래를 비방하는 것이니 이는 내가 설한 바를 잘 이해하지 못한 때문인 것이다. 수보리야, 법을 설한다 함은 설할 법이 없으되 다만 그 이름을 설한다고 일컬을 뿐인 것이니라.」 그때 혜명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많은 중생들이 다음 세상에 있어서 여래께서 설하신 이 법을 듣고 믿는 마음을 내겠습니까?」

세존께서 대답하시었다. 「수보리야, 그들은 중생도 아니고 중생도 아님도 아니니라. 왜냐하면 중생, 중생하는 것은 여래가 중생 아닌 것을 말하는 것이며 다만 그 이름이 중생일 뿐이니라.」

 

22. 법은 얻을 것이 없음

수보리가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으심은 얻으신 바가 없음이옵니까?」 부처님께서 대답하시었다. 「그러하니라, 수보리야. 내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법을 조금도 얻음이 없으니 그 이름이 다만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일 뿐이니라.」

 

23. 깨끗한 마음으로 선을 행함

「수보리야, 또 이법이 평등하여 높고 낮음이 없으므로 그 이름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리니 무아무인무중생무수자상으로 일체의 좋은 법을 닦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다. 수보리야, 좋은 법이라고 말하는 것은 여래가 말하는 것이 좋은 법이 아니라 다만 그 이름이 좋은 법일 뿐이니라.」

24. 복덕과 지혜는 비교가 안됨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 가운데에 있는 수미산 크기만한 칠보의 더미를 모두 보시한 것과, 또 어떤 사람이 이 반야바라밀경 또는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해 설해 준 것을 비교한다면 앞서 말한 복덕은 백분의 일에도 미치지 못하고 백천만억분 내지 어떠한 숫자의 비유로도 미치지 못할 것이니라.」

 

25. 교화하나 교화한 바가 없음

「수보리야, ‘여래가 응당 중생을 제도했다’고 말하지 말고 그런 생각도 하지 마라. 왜냐하면 실로 여래가 제도할 중생은 없기 때문이니라. 만약에 여래가 제도할 중생이 있다면 이는 곧 여래에게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다는 뜻이 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아상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곧 아상이 있음이 아니라 다만 범부들이 아상이 있다고 생각할 따름이니라. 수보리야, 범부라는 것도 여래의 말한 바는 범부가 아니나 그 이름이 범부일 뿐이니라.」

 

26. 법신은 상이 아님

「수보리야, 가히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그러하옵니다. 32상으로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다시 말씀하시었다. 「수보리야, 만약 32상으로 여래를 본다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대답하여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설해주신 바에 따르면 32상만으로는 여래를 볼 수 없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자 이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시었다.

만일 형상으로 여래를 보거나 소리로서 여래를 구하려 한다면

그는 삿된 길을 가는 것이니 결단코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27. 끝남도 멸함도 없음

「수보리야, 여래가 32상호를 갖추었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야, 여래는 구족상을 갖추었기 때문에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지 마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킨 사람은 모든 법이 끊어지거나 없어지는 것이라는 생각도 하지마라. 왜냐하면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낸 사람은 법이 끊어졌느니 멸했느니 하는 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니라.」

 

28. 받지도 않고 탐내지도 않음

「수보리야, 만약에 보살이 항하의 모래알만큼이나 많은 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채워 보시하더라도, 일체법이 무아임을 알고 또 인욕바라밀을 성취한다면 이 공덕이 훨씬 뛰어날 것이다. 왜냐하면,수보리야 모든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기 때문이니라.」  수보리가 다시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찌하여 보살은 복덕을 받지 않는다고 하십니까?」 「수보리야, 보살은 지은 바 복덕을 탐내거나 집착하지 않기 때문에 복덕을 받지 않는다 하느니라.」

 

29. 거동은 안정되고 고요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여래가 혹은 온다간다앉는다눕는다’고 말하면 이는 내가 설한 바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니라. 본래 여래란 어디서 오는 것도 아니며, 어디로 가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여래라 일컫는 것이니라.」

 

30. 모두가 하나인 이치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로 만든다면 그 티끌의 수가 많겠느냐?」 「매우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만약 그 티끌들이 정말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그것을 티끌들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으셨을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티끌들이란 곧 티끌들이 아니라 그 이름이 티끌들인 까닭입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삼천대천세계도 그것이 세계가 아니라 그 이름이 세계일 뿐입니다. 세계가 정말로 있는 것이라면 이는 곧 티끌들이 모여 잠시 세계라는 형상을 이루고 있을 뿐이어서( =일합상) 여래께서 설하신 일합상은 곧 일합상이 아니라 다만 그 이름이 일합상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일합상이라는 것은 가히 말할 수 없는 것이어늘 다만 범부들이 일합상이라는 것에 집착하고 있을 따름이니라.」

 

31. 알음알이를 내지 않음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을 부처가 설했다’고 한다면 이 사람은 내가 설한 참뜻을 이해했다고 생각하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잘 알지 못한 것입니다. 왜냐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아견인견중생견.수자견은 곧 그 이름이 아견인견중생견 수자견일 따름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낸 사람은 일체 법에 대해서 마땅히 이렇게 알고, 이렇게 보고, 이렇게 믿고 깨닫되 법상을 내지 말아야 하느니라. 여래는 법상이 아닌 것을 말하나 다만 그 이름이 법상일 뿐이니라.」

 

32. 응화는 진실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무량 아승지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 보시한다 하더라도 이 경의 사구게 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또 남을 위해 설하는 이가 있다면 그 복덕이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훨신 수승하니라. 그러면 다른 사람을 위해 어떻게 설한 것인가? 상에 집착하지 않고 본래 모습 그대로 흔들리지 말아야 할지니라.

 

 일체의 현상계는 꿈이요, 허깨비요, 물거품이요, 그림자요,

 이슬같고, 번개불 같은 것이니 마땅히 이와 같이 볼지니라」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해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를 비롯하여 모든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그리고 온 세상 천지에 있는 천인,인간,아수라들이 부처님께서 설하신 바를 듣고 모두 큰 기쁨으로 즐거워하며 이를 받들고 믿고 행하였다.

TAG •

List of Articles
제목 구성 출처
승가대학 전통교과목 기타
0. 대승기신론의 구성 및 전체도표 2 file 아라마제공
[개요] 금강경 성립과 구성 - 18주처, 27의단,32분과 개괄,기타
[기신론] 大乘起信論疏記會本 한문원문
І. 인연분 한문원문,원문해석,아라마직역
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1. 금강경 이해 file 개괄
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2. 圭峰密禪師疏論纂並序규봉밀선사소론찬병서 원문 해설 한문현토,원문해석,아라마직역
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소명태자 32분 - 금강경 원문 - 27의단 - 18주 - 8종 - 52개위 배대 1 file 도표정리,기타
규봉종밀의 금강경 이해 3 無着 十八住로 이해하는 金剛經 한문현토,원문해석,아라마직역
금강경 성립과 구성 개요해제
금강반야바라밀 오가해 함허 서설 1 file 한문현토,원문해석,아라마직역
금강반야바라밀경 한글독송용 기타
능엄경 1권 원문 한문현토 한문현토
대승기신론 목차에 따른 원문+우리말 대승기신론 목차에 따른 우리말 大 乘 起 信 論 馬鳴菩薩 造 梁真諦三藏 譯 一. 귀경(歸敬)과 술의(述意) 二. 논(論)의 체(體)를 정립함 1. 인연분(因緣分) 2. 입... 수집자료
대승기신론 본문 전체 우리말 file 우리말
대승기신론 총정리도표 2 file 수집자료
식차마나니계본(式叉摩那尼戒本) file 수집자료
우리말 금강반야바라밀경 우리말
원각경 보안보살장 한문 및 직역 해석 아라마 직역
원각경 보안보살장 한문 및 직역 해석 한문원문,원문해석,아라마직역
원각경 우리말 우리말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